티스토리 뷰

HTML

웹표준/웹접근성/웹호환성

남하준 2022. 1. 20. 19:02

웹표준

웹 표준이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하는데, 이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표준(standard)과는 조금 다릅니다. 웹에서의 표준은 W3C의 토론을 통해 나온 권고안(recomendation)을 말하며, 권고안 이외 단계 수준의 스펙은 비표준이거나 독자확장 요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웹접근성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은 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모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사이트가 올바르게 설계되어 개발되고 편집되어 있을 때 모든 사용자들은 정보와 기능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웹 접근성에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시각: 실명, 색각 이상, 다양한 형태의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
  • 운동성: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 없는 상태
  • 청각: 청각 장애
  • 발작: 깜박이는 효과나 시각적인 스트로보스코프를 통해 일어나는 뇌전증성 발작
  • 인지: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 (난독증, 난산증 등)

웹호환성

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아웃  (0) 2022.01.27
시멘틱 태그  (0) 2022.01.26
댓글
© 2018 webstoryboy